X
더세움신경외과 누적환자수
0
0
0
,
0
0
0
* 2025년 5월 15일 기준
더 편안하게, 더 안전하게! 비수술적 척추 관절치료!
통증으로 망가진 척추 더세움에서 바로 세우겠습니다.
더세움신경외과는 환자에게 불필요한 과잉진료를 절대 권하지 않습니다.

오직 양심과 정직을 가장 중요한 약속으로 생각하는 병원으로,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우수 의료진들로 구성되어 선진 의료서비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더세움 의료진 소개

김용국 원장
김 용 국 원장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중앙보훈병원 수련의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우수 전공의 수상)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초음파학회 정회원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CADAVER DISSECTION COURSE 이수
  • ASIA SPINE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정 영 익 원장
정 영 익 원장
  •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 서울중앙보훈병원 수련의
  • 분당제생병원 신경과 전공의
  • 분당제생병원 신경과 전문의
  • 전) 영동병원 과장
  • 대한신경과학회 정회원
  • 대한두통학회 정회원
  • 대한치매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초음파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 대한충격파치료학회 회원
  • 대한근골격계초음파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한 석 철 원장
한 석 철 원장
  •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 서울중앙보훈병원 수련의
  • 서울중앙보훈병원 재활의학과 전공의
  • 서울중앙보훈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 전) 국군수도병원 과장
  • 대한재활의학회 정회원
  • 대한스포츠의학회 정회원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원
  • 대한도수의학회 회원
  • 대한충격파치료학회 회원
  • 대한근골격계초음파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강 희 일 원장
강 희 일 원장
  •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중앙보훈병원 수련의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우수 전공의 수상)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 전) 국군포천병원 과장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초음파학회 정회원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CADAVER DISSECTION COURSE
  • ASIA SPINE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설 정 훈 원장
설 정 훈 원장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박사 졸업
  • 건양대학교 병원 수련의
  • 서울 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 서울 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 전) 수원 나누리병원 척추센터 과장
  • 전) 안산 21세기병원 척추센터 과장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초음파학회 정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도수의학회 충격파 교육 이수
  •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정회원
  • ASIA SPINE 학회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 학회 CADAVER WORKSHOP 이수
  • 대한신경외과학회 중환자 WORKSHOP 이수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김 도 현 원장
김 도 현 원장
  •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중앙보훈병원 수련의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우수 전공의 수상)
  • 서울중앙보훈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 전) 용산정형외과 원장
  • 전) 화정으뜸정형외과 원장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경통증학회 정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말초신경외과학회 CADAVER WORKSHOP 이수
  • 대한신경외과학회 중환자 WORKSHOP 이수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강 수 환 원장
강 수 환 원장
  •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전북대병원 서브인턴 수료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원
  • 대한도수의학회 회원
  • 대한충격파치료학회 회원
  • 대한근골격계초음파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김 대 문 원장
김 대 문 원장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예수병원 서브인턴
  • 대한스포츠과학 운동의학회 회원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원
  • 대한도수의학회 회원
  • 대한충격파치료학회 회원
  • 대한근골격계초음파 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황 범 준 원장
황 범 준 원장
  •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수련의
  • 전) 용화보건소 소장
  • 전) 황간통합보건소 소장
  • 대한재활의학회 근막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 과정 이수
  •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원
  • 대한도수의학회 회원
  • 대한충격파치료학괴 회원
  • 대한근골격계초음파 학회 회원
  •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 회원
  • 척추신경차단술 5만례 이상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두통

두통의 원인

두통은 현재 처한 환경과 다양한 근무 여건으로 원인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나는 만성적 질환입니다. 전체 인구 중 90프로 이상이 일생에 한번 이상 겪게 되는 증상이며, 1년 유병율이 50프로 내외인 흔한 증상입니다.

두통의 유형

편두통 : 주로 편측, 양측으로 발생하며, 두통 발생 전 전구증상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고 오심과 구토를 동반
긴장성 두통 : 경추 및 두부의 근육 긴장으로 인한 두피의 감각신경성통증, 근육통인 경우 발생
군발성 두통 : 눈 주위의 극심한 통증, 눈물과 안구 충혈이 동반, 특정시기에 집중적으로 증상이 심해짐
어지럼증 : 자신 또는 주위 사물이 정지해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느낌, 자세불안과 눈떨림이 동반

치료 방법

목과 어깨의 긴장으로 인한 두통인 경우 주사치료와 물리치료, 도수치료, 자세교정 등을 통해 근육을 이완하고, 증상에 따라 약물처방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두통
두통

목 / 허리

목 / 허리 통증

목, 허리 통증의 경우, 나쁜자세와 생활속 나쁜습관들로 인해 근육이 과도한 긴장을 하거나 무리하게 되면 근육 및 관절, 신경 등을 자극하여 통증이 발생되게 됩니다.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어 조기 발견 및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목 질환

목 디스크 : 목의 디스크가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며 통증과 저림 증상을 유발
거북목증후군 : 목과 어깨의 통증, 뻣뻣함, 두통, 그리고 자세 불균형으로 인한 피로감
경부긴장 및 염좌 : 목의 통증, 뻣뻣함, 움직임 제한, 그리고 주변 근육의 압통 발생
후관절증후군 : 외상이나 잘못된 습관으로 거북목 형태가 되어 목 뒤쪽에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
편타손상 :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목이 급격히 굴곡되거나 신전되어 발생하는 손상

허리 질환

허리디스크 : 허리의 디스크가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또는 근력 약화 유발
척추관협착증 :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면서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보행 장애 발생
척추측만증 :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옆으로 휘어져 등이 비대칭으로 보이거나 허리 통증과 자세 불균형을 유발
후관절증후군 : 척추뼈 뒤쪽 측면에 있는 후관절에 염증이 발생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
추간판내장증 : 추간판의 구조와 대사기능이 이상을 일으켜 요통을 유발하는 질환. 추간판 탈출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척추분리증 : 척추뼈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금이 가거나 끊어져 분리된 상태
천장관절증후군 : 천장관절 주변 인대가 손상되어 허리와 엉덩이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해 오인하기 쉬움
급성 요추염좌 : 허리뼈(요추) 부위의 근육과 인대가 손상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

치료 방법

대표적으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진단의료기기 디지털 C-arm을 사용하여 신경차단술이 시행되며, 병변 부위에 안전하고 정확히 약물을 투입하여 반복시술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고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증상에 따라서 도수치료, 물리치료가 병행됩니다.

목 / 허리
목 / 허리

어깨

어깨 통증

어깨 통증은 잘못된 자세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근육과 인대에 부담이 가해지면서 발생합니다. 방치하면 만성 통증이나 운동 범위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어깨 질환

오십견 : 어깨 관절의 염증과 유착으로 인해 팔을 들어올리거나 뒤로 젖히기 어려움
어깨관절염 : 어깨 관절의 퇴행성 변화나 염증으로 인해 통증, 뻣뻣함, 운동 범위 제한
회전근 건염 및 파열 : 어깨 회전근의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통증, 어깨 약화, 움직임 제한
윤활낭염 : 관절 주변의 윤활낭에 염증이 생겨 통증, 부종, 압통, 관절을 움직일 때 불편감 유발
석회화건염 : 건(힘줄) 내에 칼슘이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키며, 통증, 부종, 움직임 제한 발생
상완이두근 건염 : 팔의 앞면에 있는 이두근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어깨 앞쪽에 통증 발생

치료 방법

영상진단의료기기 디지털 C-arm을 사용하여 신경차단술을 통해 흥분되어 있는 신경과 근육 및 인대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체외충격파도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 가동범위를 넓혀주는 도수치료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어깨
어깨

무릎

무릎 통증

무릎 통증은 퇴행성 변화, 반복적인 충격,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연골이나 인대에 손상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어 조기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무릎 질환

골관절염 : 관절의 연골이 퇴화하거나 손상되어 통증, 부기, 뻣뻣함을 유발하는 퇴행성 관절질환
관절 내장증 : 관절 내 연골이나 뼈가 손상되어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통증 유발
활액막염 : 관절을 감싸는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 부기, 움직임 제한 발생
측부 및 관상인대 손상 : 관절의 측면 또는 앞뒤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져 통증, 불안정성을 유발
슬개골 건병증 : 슬개골 주위 건(힘줄)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해 통증, 부기를 유발
슬개대퇴골장애 :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 시 슬개골 아래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

치료 방법

초음파 장비를 사용하여 신경차단술을 시행하여 흥분된 신경과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통증을 줄여주고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강화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서 운동치료 및 도수치료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무릎
무릎

수부 / 팔꿈치

수부 / 팔꿈치 통증

손목 및 팔꿈치 질환은 반복적인 손 사용과 무리한 힘의 가해짐으로 인해 인대나 힘줄에 손상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방치할 경우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와 올바른 관리가 필요합니다.

손목 질환

수근관 증후군 : 수근관이 좁아져 정중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손목과 손에 통증, 저림, 약화로 이어짐
방아쇠수지 : 손가락의 힘줄이 염증이나 부종으로 인해 굳어져, 손가락을 펼치거나 구부릴 때 걸리는 느낌을 유발
삼각섬유연골복합체 (TFCC) : 내측에 위치한 연골과 인대의 구조에 손상이 생기며 통증과, 움직임 제한 유발
드퀘르벵 : 손목과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에 염증이 생겨, 움직일 때 불편함, 통증 유발

팔꿈치 질환

테니스엘보 (외상과염) : 팔꿈치 바깥쪽에 있는 힘줄에 과도한 사용으로 염증이 생겨 통증, 약화, 불편감 유발
골프엘보 (내상과염) : 팔꿈치 안쪽에 있는 힘줄에 과도한 사용으로 염증이 생겨 통증, 약화, 불편감 유발

치료 방법

주사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가 주된 치료이며, 증상에 따라 도수치료, 물리치료를 병행합니다. 특히 팔꿈치 질환의 경우 불안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테이핑 혹은 보호대를 이용해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부 / 팔꿈치
수부 / 팔꿈치

발목 / 발

발목 / 발 통증

발목 및 발 통증은 과사용, 부상, 구조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인대나 근육, 관절에 무리가 가면서 발생합니다. 통증이 지속되면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생활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발목 / 발 질환

족저근막염 :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겨 발꿈치와 발바닥에 통증을 유발, 주로 아침에 첫 발을 디딜 때 심한 통증
지간신경종 : 발가락 사이의 신경이 압박을 받아 통증, 저림, 따끔거림 유발하며 보통 두번째 세번째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
아킬레스건염 : 발꿈치와 종아리를 연결하는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생기며 발꿈치를 움직일때 통증 발생
발목염좌 : 발목을 과하게 사용하거나 삐는 경우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져 통증, 부기, 멍을 유발
무지외반증 :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져 발의 안쪽에 돌출이 생기며 통증, 걸을 때 불편감 유발

치료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진단 의료기기 디지털 C-arm을 사용하여 신경차단술이 시행되며, 병변 부위에 안전하고 정확히 약물을 투입하여 반복 시술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고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인대 및 힘줄 강화에 도움이 되는 체외충격파 치료를 병행하며, 강화 운동을 위해 도수치료 및 물리치료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호대 등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발목 / 발
발목 / 발

골다공증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약해지면서 작은 충격에도 골절 위험이 높아지는 질환입니다. 증상이 악화되기 전까지는 특별한 통증이 없어서 발견이 늦을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유형

폐경 후 골다공증 : 폐경 후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감소로 골 흡수가 증가되어 발생
노년성 골다공증 : 피질골과 소주골의 감소로, 주로 70세 이상에서 발생

치료 방법

주로 약물치료를 활용하며,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 등의 골흡수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골다공증
골다공증

대상포진

발목 / 발 통증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저하될 때 잠복해 있던 수두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면서 피부에 물집과 극심한 신경통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신경을 따라 통증이 지속될 수 있어 초기 증상부터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생 위치

· 흉추부(가슴)
· 얼굴 (삼차신경)
· 목 (경추부)
· 허리 (요추부)

치료 방법

통증 치료를 위해 안전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진단의료기기 디지털 C-arm을 사용하여 신경차단술이 시행되며, 항바이러스와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 완화와 바이러스 확산을 예방합니다. 증상에 따라 물리치료와 전기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대상포진
대상포진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the seum neurosurgery

더세움
비수술 클리닉

button_prev
button_next
신경차단술
신경차단술

통증이 발생한 척추, 관절 부위에 디지털영상(C-arm)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병변 부위를 진단하면서 신경 주변 부위로 주사로 약물을 주입하여 신경의 흥분도와 근육긴장을 낮추고 염증을 치료하여 통증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 정상상태로 돌리는 치료기법입니다.

도수치료
도수치료

숙련된 물리치료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치료요법으로 척추관절의 통증을 해소하기 위해 X-ray검사, 체형평가, 근력평가, 관절 가동범위 등의 검사를 이용해 환자분의 불균형 및 통증 원인을 알아내고 1:1 개별 관리를 통하여 급/만성통증의 집중적인 관리를 시행합니다.

초음파유도주사
초음파유도주사

초음파 유도주사치료는 초음파 진단 장비를 이용, 실시간으로 병변 부위를 보면서 통증부위에 정확하게 약물을 주입하는 치료요법입니다. 약물 주입을 통해 흥분된 신경을 가라앉히고 근육긴장을 줄여주며, 염증을 치료하여 급/만성 통증을 완화시켜주게 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충격파 치료 기기에서 생성되는 고출력 치료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병변부위를 반복적으로 자극해 혈류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근육,힘줄등에 통증 조절 및 강화에 도움을 주는 치료요법입니다.

더세움 보유 장비 소개

  • X-ray
    X-ray

    Accuray D5

  • 초음파영상진단기
    초음파영상진단기

    알피니온 X-CUBE 60

  • 초음파영상진단기
    초음파영상진단기

    SonoSite SII

  • C-arm
    C-arm

    ZEN-2090 turbo

  • 체외충격파치료기
    체외충격파치료기

    IN-5200

  • 간섭파 치료기
    간섭파 치료기

    GP-MEDIPLUS

  • 저출력 레이저
    저출력 레이저

    한일 HLA-200

  • 손마사지기
    손마사지기

    메디니스 MVP-7790

  • SASO
    SASO

    영일엠 01M7-D

더세움 둘러보기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원내이미지
logo_bg

더세움 뉴스

button_prev
button_next

더세움 오시는 길

진료시간
  • AM 9:00 ~ PM 8:00
  • AM 9:00 ~ PM 2:00
  • PM 1:00 ~ PM 2:00
* 공휴일 정상진료 , 일요일 휴진
*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

주소

경기 평택시 세교7길 30 3층 (척추/관절센터), 4층 (재활/도수치료센터)

parking_img
버스

세교지구 (48345) 도보 3분 : 일반 1361번
경기계량소앞 (15695) 도보 5분 : 일반 1451번
세교동태영아파트 (15689) 도보 8분
: 일반 810번, 1150번, 1522번, 1311번, 1353번